청년도약계좌 조건 요약해서 무엇인지 빠르게 알고 가세요.
정부가 국민과 청년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을 꾸준히 내놓고 있는데요.
2023년 6월 부터 출시하며, 새롭게 달라지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간단히 요약하여 먼저 정리드리고, 글 후반 부에는 자세히 정리해드릴 테니 시간 없으신 분들은 빠르게 요약 정보만 보고 가셔도 좋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정보 요약 정리
청년의 돈 모으기 (적금과 같은)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정부에서 새로운 청년도약계좌를 열기로 하였습니다.
만 19세 이상 부터 만 34세 이하의 청년이면서 근로·사업 소득이 있는 사람은 5년간 월 70만원씩 납부하고 만기에 일시금 5,00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정부는 이러한 월 지불액의 최대 6%를 보조하게 됩니다. 또한 금융상품 추천 및 계약 체결 시 디지털 및 휴대폰 인증 방식을 새롭게 도입하여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였습니다.
네이버·카카오 등 전자금융사 수수료 관련 자율규제 체계를 구축하고 수수료 공개에 대한 가이드라인 또한 마련하였습니다.
또한 금융 ‘마이데이터’ 정보 제공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한국자산 관리 공사의 금융 지원 및 지급보증 범위도 확대한다고 합니다.
스마트폰을 통한 고액현금거래 안내를 위한 새로운 알림 서비스도 시행됩니다.
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차이 비교
청년도약계좌 와 청년희망적금 차이에 대한 비교를 표로 정리하였습니다. 정보 참고는 국회 정무위원회 와 금융위원회 내용을 참고했어요.
청년도약계좌(예정) | 청년희망적금 | |
가입 대상 | 만 19~34세 청년 (병역이행기간 제외) | 만 19~34세 청년(병역기간 제외) |
소득 요건 | 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 및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 | 개인소득 3,600만 원 이하 or 종합소득 2,600만원 이하 |
투자 형태 | 적금형, 투자형 중 선택 | 적금 |
납입 금액 | 월 최대 40~70만 원 | 월 최대 50만 원 |
정부 지원금액 | 3~6%(월 지급) | 1년 차 2%, 2년차 4% (만기 지급) |
만기 | 5년 | 2년 |
만기의 기간도 차이가 있고 월 지급과 만기 지급 방식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습니다. 소득에 따라 가입 조건도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소득과 맞춰 비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자신에게 최적인 상품 선택하기
위 정리표를 참고해서 자신의 상황과 알맞는 상품을 고르되 두 가지 모두 가입이 가능하다면, 전략을 잘 세워서 가입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.
이 글을 최신 정보로 계속해서 업데이트 해 둘 예정이기 때문에 북마크에 추가 또는 링크를 공유해두시고 틈틈히 방문하시면 도움이 될거에요.
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덧글 남겨주세요. 🧐